728x90
반응형
GNU/Linux
초기 리눅스는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을 지칭하였다.
하지만 리눅스 커널과 GNU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와 도구들이 포함되면서 하나의 운영체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리눅스 배포판 = 리눅스 커널 + GNU정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자유소프트웨어 + 공개 프로그램
기업 차원 배포 - 레드햇, 수세, 우분투
커뮤니티 차원 배포 - 데비안, 젠투 리눅스 등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
피터 맥도널드 - 소프트랜딩 리눅스 시스템(SLS)이 리눅스 최초의 배포판이다.
리눅스 커널 + GNU의 프로그램 + 기본적인 유틸리티 + X-Window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운영체제로 완성했다.
출시 당시에는 가장 인기 있는 리눅스 배포판이였지지만 버그가 많았다.
패트릭 볼커딩은 SLS에 존재하는 버그를 잡기 시작하고, 그 결과로 리눅스 배포판 슬랙웨어가 탄생했다.
또한 Yggdrasil 리눅스, 이안 머독에 의해 데비안 프로젝트가 등장했다.
- 주요 리눅스 배포판의 특징
슬랙웨어(Slackware)
창시자 - 패트릭 볼커딩(Patrick Volkerding)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인 SLS기반으로 디자인의 안전성과 단순성을 목표로 만듦
최신의 다른 리눅스 배포판과 다르게 그래픽 기반의 설치 절차가 없고,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의존성도 자동으로 해결해주지 않는다.
또한 모든 설정이나 관리를 편집기를 이용해서 텍스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소프트웨어를 최상단(upstream)에서 최대한 수정되어 배포되는 형식으로 패키지를 새롭게 적용하거나 수정하기는 힘들다.
리눅스 배포판 - SuSE, Porteus, Vector Linux, Salix OS
데비안(Debian)
창시자 - 이안 머독(Ian Murdock)
대부분이 GNU GPL 라이센스 기반 하에 있고 전부 자유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다양한 플랫폼을 지원)
다양한 커널이 탑재된 운영체제도 선보였는데 이중 정식판으로 지원되는 버전은 데비안 GNU/Linux뿐이다.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등 패키지 관리가 매우 편하다(슬랙웨어와의 차이점)
초기에는 dpkg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기능이 확장한 apt를 사용해서 설치나 업데이트를 할 경우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성 확인과 보안관련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리눅스 배포판 - Knoppix, Corel, Lindows, Ubuntu, Linux Mint, Elementary OS, BackTrack(현재 지원종료), Kali Linux(백트랙의 후속형태)
레드햇(Red Hat)
창시자 - 밥 영(Bob Young) ACC corporation설립 >>마크 유잉(Marc Ewing) Red Hat software로 회사명 바꿈
쉬운 설치와 독자적인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다.
레드햇 설치 과정은 텍스트 기반 뿐만 아니라 그래픽 인터페이스또한 제공한다.
RPM과 YUM 이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제공하여 손쉽게 설치, 관리,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레드햇은 Red Hat Linux 9 버전까지만 소스 공개를 포함하여 무상으로 배포하였고, 현재는 유료 배포판을 만들어 업데이트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일반 사용자를 위한 무료 배포판은 fedora라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만들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게 만들었다.
RHEL의 복제판으로 자체적인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되던 CentOS도 흡수하였다.
리눅스 배포판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Cent OS, Fedora, Oracle Linux, Scientific Linux, Asianux, Mandriva Linux, Mandrake
수세(SUSE, Software und System - Entwicklung)
- 특정 계파의 Leader
창시자 - Roland Dyroff, Thomas Fehr, Burchard Steinbild, Hubert Mantel
초기에는 유닉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목적이었다.
초기에는 슬랙웨어 기반의 상용 리눅스 배포판인 SuSE Linux를 출시하였고, 리눅스 커널 2.0기반으로 배포하였다.
초기 배포판의 핵심은 슬랙웨어 였지만 대부분은 Florian La Roche가 만든 Jurix 배포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SuSE Linux는 슬랙웨어 단점인 패키지 관리 기법을 보완하기 위해 YaST, Zypp라는 유틸리티를 제공하였다.
2003년 노벨에 인수되면서 SUSE Linux로 변경되었고 openSUSE Profect를 만들어서 외부 기여자와 함께하는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최종적으로 마이크로 포커스 인터내셔널(Micro Focus International)이 인수하였다.
리눅스 배포판 - SUSE Linux Enterprise, Opne SUSE, Gecko Linux, Linkat 등
우분투(Ubuntu)
- 특정 계파의 Leader
창시자 - 마크 셔틀워스(Mark Shuttleworth)
우분투의 가장 큰 특징은 그놈 데스크톱 환경(GNOME desktop environment)기반의 그래픽 셸인 유니티(Unity)를 사용하는데,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개인용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서 가장 인기 있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서버, 메인프레임 기반의 가상 서버, 도커와 같은 경량화 가상 서버인 컨테이너도 지원하면서 시장을 점점 확대하고 있다.
데비안 패키지 관리 기법인 dpkg와 apt를 그대로 사용한다.
리눅스 배포판 - Ubuntu GNOME, GNOME2 기반의 Ubuntu MATE, KDE기반 Kubuntu, Xfce 기반의 Xubuntu, LXDE기반의 Lubuntu
국내 리눅스 배포판
상용 배포판으로는 한글과 컴퓨터사에서 아시아 기업과 협력해서 만든 아시아눅스가 있고, (주)에스유소프트에서 배포하는 SULinux가 있다.
개인이 만들어서 배포하는 대표적인 배포판으로는 서버 전용으로 패키지를 가볍게 만든 안녕 리눅스가 있다.
728x90
반응형
'리눅스 > 리눅스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 리눅스와 라이선스 (2) | 2023.02.04 |
---|---|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 리눅스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와 관련 용어 (0) | 2023.02.04 |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0) | 2023.02.03 |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리눅스의 기술적인 특징 (0) | 2023.02.03 |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리눅스의 장점과 단점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