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자(Directive), 선언자(Declaration), 스크립트릿(Scriptlet), 표현식(Expression)
·
JSP/JSP 기본 개념
JSP(Java Server Pages)에서는 지시자(Directive), 선언자(Declaration), 스크립트릿(Scriptlet), 표현식(Expression)이라는 4가지 요소를 사용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지시자(Directive) 지시자는 JSP 페이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지시를 설정하는 요소입니다. JSP 페이지에서 사용될 클래스, 메타 데이터, 인코딩 방식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시자는 JSP 페이지의 맨 위에 위치해야하며,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됩니다. 2. 선언자(Declaration) 선언자는 JSP 페이지 내에서 사용할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하는 요소입니다. 선언된 변수나 메소드는 스크립트릿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됩니다. 3. ..
JSP- singleton이란?
·
JSP
Singleton Singleton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어떤 클래스가 최대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갖도록 보장하며, 이를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패턴입니다. Singleton 패턴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최대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한다. 이 인스턴스에는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인스턴스 생성 및 관리는 해당 클래스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Singleton 패턴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원을 공유해야 하는 경우 공통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설정 정보 등의 전역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 Singleton 패턴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var Singleton = (function () { var instance; fu..
JSP - VO, DAO, DTO란?
·
JSP/JSP 기본 개념
JSP를 배우는 중이시다니, 좋은 선택입니다! VO(Value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DAO(Data Access Object)는 JSP에서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VO, DTO, DAO는 모두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각각의 역할과 예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VO (Value Object) VO는 값을 가지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한 행(row)에 해당하는 값들을 VO 객체에 담아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코드: public class MemberVO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emai..
JSP - 리다이렉트
·
JSP/JSP 기본 개념
리다이렉트(Redirect) 말 그대로 방향을 다시 설정하는 것이다. 웹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request)를 보낸다.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JSP에서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request라는 내장 객체를 사용하며, 응답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response라는 내장객체를 사용한다. 요청은 주로 사용자가 필요하는 페이지 정보나, 입력 정보등을 가지고 있다. 응답은 페이지 응답 방향 지정 및 쿠키, 에러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 로그인 요청을 했으나 아이디/비밀번호를 틀리게 입력한경우 리다이렉션 설정을 통해 다시 로그인창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래 예시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로그인을 누르게 만들어보았다. 로그..
JSP 문자열, 정수 파라미터 받기(GET, POST방식)
·
JSP/JSP 기본 개념
먼저 내용을 정리하고 예시를 살펴보자! HTTP요청 메서드 1. GET - 대부분의 요청은 GET으로 이루어진다. - 요청응답 속도가 가장 빠르다. - 단, 파라미터 전송을 URL에 담아서 보내기 때문에 노출된다. - 파라미터 전송 길이에 제한이 있다. - 내용이 간단한 경우 사용 2. POST - 파라미터를 HTTP Header라는 부분에 담아서 보낸다. (HTTP Header에서 보내는 과정에서encoding을통해 기계어로 바뀐다, 꺼낼때에는 decoding) - encoding/decoding 방식은 같아야한다. - 따라서, 주소창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 단, GET보다 속도는 느리다. - 파라미터 전송 길이에 딱히 제한이 없다. - 정보가 중요하고 긴것들은 POST를 사용한다.(블로그, 파일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