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 DDD 구조 고려한 패키지를 생성하는 방법
·
TIL
기존에 있던 모노리딕 프로젝트의 패키지 구조를 변화시키고 각 도메인별로 콘텍스트를 나눠 이후 분산환경으로 전환하더라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해보려고 한다.이 관계에서 여러가지 고민들을 했었는데 이 부분들에 대한 감각을 기록해놓으려고 한다.패키지 구조내가 찾아본 DDD 아키텍처에 대해서는 여러 패키지 전략이 존재했다.첫 번째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여기서 독특한 점은 application의 usecase와 event 였다.domain아래에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application에서 별도로 usecase라는 행위와 event라는 행위를 구분한 점을 처음 발견했다.com.example.project ├── domain # 핵심 도메인 로직 │ ├── or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