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에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루틴들을 모아 놓은 것 프로그램 개발 시 라이브러리 중에서 필요한 루틴들을 받아서 링크(Link)시킨다. 링크 시킨 루틴들이 실행 파일마다 들어가는데 메모리도 남고 실행 파일의 크기도 커진다. 이러한 루틴들을 공유하는 것을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y)라 한다. 정적 라이브러리는 컴파일할 때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프로그램에 넣는다. 동적 공유 라이브러리는 실행 파일 내부에 넣어두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져가므로 메모리의 효율성이 아주 높다.
가상 콘솔 하나의 모니터를 장착한 시스템에 여러 개의 가상 화면을 제공해서 사용하는 기능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한다. CTRL+ALT+F1 ~ F6까지 총 6개의 텍스트 기반의 로그인 창을 제공한다. X-Window 사용시 CTRL+ALT+F7을 통하여 표시된다.(최근 리눅스 배포판 부팅 모드를 X-window를 사용할 경우 F1로 사용되기도 한다.) X-window창이 아닌 가상 콘솔의 창 전환은 CTRL키 없이 ALT+Fn 조합만으로도 가능하다. X-window에서는 ALT가 특수한 기능으로 사용되므로 CTRL키와 함께 조합하여야 사용가능하다.
파이프 프로세스의 통신을 위해 도입한 것으로 어떤 프로세스의 표준 출력이 다른 프로세스 표준 입력으로 쓰이게 하는 것 '|'기호를 사용하고, 여러개를 사용하면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게 되면서 데이터들은 파이프라인을 따라 흐르게 된다.
사용 예시
ls -l의 출력이 grep의 입력이 된다. >> myfile을 찾아서 보여준다.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은 어떤 프로세스의 입/출력을 표준 입출력이 아닌 다른 입출력으로 변경할 떄 사용한다. 출력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파일의 내용을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종류 > : 프로세스의 출력을 표준 출력에서 다른 출력으로 변경한다. >> : 프로세스의 출력을 지정한 출력(보통 파일)에 추가한다. < : 프로세스의 입력을 표준 입력에서 다른 입력으로 변경한다. << : 기호 뒤에 지정한 문자열을 입력으로 받아 해당 문자열이 나오기 전까지를 표준 입력을 삼아 해당 내용을 출력한다.
사용 예시
1. ls -l로 표준 출력한 내용을 mylog 파일에 출력한다.
2. ls -l로 표준 출력한 내용을 mylog 파일에 추가하여 출력한다. 1번과 2번을 실행 후 결과 (vi mylog)
> 과 >>의 차이점 >는 항상 새로운파일에 덮어서 쓰므로 이전에 있던 내용이 삭제된다. >>는 이전에 있던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므로 내용이 수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