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물리(Physical Layer)계층의 장비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OSI 7Layers를 공부하면서 궁금했던 리피터, 허브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리피터(Repeater)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증폭하는 장비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연결하는데 사용 전자기장 확산이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감쇠를 보상해주어 여러 대의 리피터를 사용하면 장거리까지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요즘은 허브등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허브 LAN을 구성할 때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 리피터와 멀티포트의 역할을 제공한다. 리피터와 동일한 기능 지원(신호 정형 및 증폭) 중심축에 놓여 여러개의 포트를 이용하여 컴퓨터 여러대와..
리눅스 well-known port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well - known port(0번 ~ 1023번) 필수적인 내용만 담았습니다. port number - TCP/UDP - 종류 (일부 중요한 포트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20 - TCP : FTP(파일 전송) 21 - TCP : FTP(제어 및 인증) 22 - TCP - SSH(암호화된 쉘) 23 - TCP - Telnet(암호화 x, 텍스트 통신) 25 - TCP - SMTP(이메일 전송) 53 - TCP/UDP - DNS(도메인 > IP주소로 전환) 67 - UDP - DHCP Server 68 - UDP - DHCP Client 80 - TCP/UDP - HTTP(웹 페이지 전송, 웹 서비스) 110 - TCP - POP3(받는 메일 서버, 읽으면 클라이언트 쪽으로 다운로드) 139 - TC..
[리눅스 마스터 2급] 네트워크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네트워크?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여 정보 교환 및 처리, 자료 및 하드웨어 공유 등을 위해 구성한 통신망을 말한다. 네트워크 범위 LAN(Local Area Network) 빌딩, 연구소, 학교와 같은 규모(반경 수 km)내의 근접한 컴퓨팅 장비들을 연결한다. 신뢰성 있는 고속 통신채널 제공 근거리 망 낮은 오류율에 의한 신뢰성있는 고속데이터 전송 가능 속도 : 10Mbps~155Mbps 지역적으로 제한된 영역에 한정 종류 : Ethernet, Token-Ring, FDDI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학교와 같은 규모(반경 수 십km)내의 컴퓨팅 장비들을 연결한 망 LAN과 같은 데이터 속도 WAN(Wide Area Network) 도시와 도시, 국가와 국가간 연결하는 ..
[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X-window)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 네트워크 프로토콜(x-프로토콜)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리눅스 환경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리눅스 = CUI(command User Interface)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이다. 특징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을 제공한다. 이기종 시스템 사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smaba) 스크롤바, 아이콘, 색상 등 그래픽 환경 자원들이 특정 형태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 종류 X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i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세지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리눅스 마스터 2급/네트워크, CS면접 ] OSI 7계층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IOS 7 Slayer( 7계층)?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계층, 상하구조가 존재한다 >> 물리적인 연결이 있어야 데이터를 보낼 수 있고 소프트웨어가 작동한다. 각 계층은 독립적이다 >> 유지관리하기 용이하다 순서(A>P>S>T>N>D>P) 암기 TIP ! APart 1ST NeeD Partition 계층별 설명 물리(Physical Layer) - 하드웨어의 특성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데이터 전송)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장비 : 리피터, 통신 케이블, 허브, 모뎀 데이터 단위 : 데이터는 0 과 1(비트열) == on/off의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기만 할 뿐, 상태에 대해서는 전혀 확인하지 않는다. 신호를 주고 받기위한 전기적, ..
[리눅스 마스터 2급] 프로세스(Process)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프로세스?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메모리에 적재되어, PCB(Process Control Block)이라는 형태로 OS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은 절대 다르다. 시험에 안나오지만 아래 사진은 참고만 해두자. 프로세스(process)의 생성 fork -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 형태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형태 기존의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하고 원래의 프로세스와 똑같은 코드를 기반으로 실행한다. 보통 명령어를 내리면 fork형태로 수행된다. exec - 원래의 프로세스를 새로운 프로세스로 대체하는 형태 호출한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새로운 프로세스의 코드로 덮어 씌움 명령어 앞에 exec를 붙이면 기본 프로세스가 교체되며 새로운 프로세스가 할당된다.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