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이전에 했던 실습에서 부족한 내용들을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https://sunro1994.tistory.com/20?category=1097351
리눅스 : NFS서버의 파일 마운트하기
NFS(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해서 공유하는 것이다. 예시 상황 ) A의 컴퓨터에 있는 NFS1폴더를 B가 쓰고 싶다. 하지만 B는 자신의 컴퓨터 용량이 작아 A
sunro1994.tistory.com
1. /etc/exports에서 쓸 수 있는 옵션들
- ro/rw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하거나 read-write 가능하도록 마운트 - root_squash[on]/no_root_squash[off]
로컬 사용자와 원격 사용자를 모두 root로 취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모든 권한을 획득 가능하다.
편리하지만 보안은 매우 취약해진다. - all_sqush[on]/no_all_squash[off]
클라이언트 사용자를 익명(anonymous)사용자로 취급한다. 이 옵션이 선택되면 모든 사용자ID와 그룹ID는 익명 사용자로 취급이 된다. - sync[on]/async[off]
파일을 쓸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 싱크를 맞춘다. 서버는 데이터가 저장소에 안전히 쓰였는지 확인 한 후 응답을 보낸다. 변경 사항을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서버가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 no_subtree_check[off]
파일 시스템의 전체 디렉토리가 아닌 하부 디렉토리가 보내졌을 때, 서버는 공유한 하부 디렉토리가 요청된 파일인지 검사한다.
이 옵션을 설정하면 하부구조검사를 하지 않는다. 전체 파일 시스템이 내보내진 경우 이 옵션을 선택 시 하부구조 검사를 하지 않아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no_wdelay
즉시 디스크에 기록한다.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daemon(데몬) , /etc/rc.d/init.d/ 파일 종류 (0) | 2023.01.25 |
---|---|
리눅스 : NFS서버의 파일 마운트하기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