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2급 1장- 파티션 분할
·
리눅스/리눅스의 설치
파티션?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 파티션 분할의 장점 1. 하나의 디스크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와 윈도우를 같이 사용하고 싶은 경우 파티션을 분할해서 각각 설치하여 부팅이 가능하다. 2. 파티션 단위의 다양한 정책 설정이 가능하다. 파티션 단위로 사용자 및 그룹 쿼터 설정, 보안 및 백업 설정, 파일 시스템 점검 설정 등 다양한 정책 설정이 가능하다. 3.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원하는 블록(block)의 크기를 설정하여 디스크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자료 이전 및 관리, 백업에 용이하다. 분할된 파티션의 데이터인 경우 마운트 포인트를 변경하여 이전 및 관리를 할 수있다. 5. 부팅이 빨라지고 파일 시스템 점..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 리눅스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와 관련 용어
·
리눅스/리눅스의 이해
GNU(GNU's Not Unix) 주최자 - 리처드 스톨먼 유닉스와 호환이 되면서 더 강력한 운영체제를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자유로운 소프트웨어를 희망하던 공동체들이 가장 먼저 운영체제이 유닉스를 기본으로 개발을 시작하면서 이 말이 탄생하였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이렇게 자유로는 유닉스를 만드는데 목적이 있었으나 리눅스가 등장하면서 GNU C 컴파일러인 gcc, 문서편집기 emacs, X-Windo 데스크톱 환경의 GNOME, GNU tar등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GNU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의 상업화를 반대해 자유로운 사용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GNU GPL(General Public License) GNU프로젝트가 시작되고 FSF가 처음 설립된 시기에 자유소프트웨어라는 표기 용어로 카피레프..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
리눅스/리눅스의 이해
디렉터리? 파일을 보관하는 곳이다. 최상위에 해당하는 루트(/)를 중심으로 하위 디렉터리에 다수의 디렉터리가 존재하는 형태의 트리(tree) 구조를 갖추어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리눅스에 존재하는 디렉터리는 리눅스 벤더나 버전에 따라 약간 상이할 수 있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 최상위에 있는 디렉터리로 루트(root) 디렉터리라고 한다. /root 루트의 홈디렉토리이다. /bin bin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다.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보통 PATH가 설정되어 있다. /boot 부팅 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다. 최근 리눅스 버전에서는 부트 로더로 사용되는 grub 관련 파일도 이 다이렉트에 들어있다. /dev 하드디스크,CD-ROM..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리눅스의 기술적인 특징
·
리눅스/리눅스의 이해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루틴들을 모아 놓은 것 프로그램 개발 시 라이브러리 중에서 필요한 루틴들을 받아서 링크(Link)시킨다. 링크 시킨 루틴들이 실행 파일마다 들어가는데 메모리도 남고 실행 파일의 크기도 커진다. 이러한 루틴들을 공유하는 것을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y)라 한다. 정적 라이브러리는 컴파일할 때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프로그램에 넣는다. 동적 공유 라이브러리는 실행 파일 내부에 넣어두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져가므로 메모리의 효율성이 아주 높다. 가상 콘솔 하나의 모니터를 장착한 시스템에 여러 개의 가상 화면을 제공해서 사용하는 기능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한다. CTRL+ALT+F1 ~ F6까지 총 6개의 텍스트 기반의 로그..
리눅스 마스터 2급 1장(개요) - 리눅스의 장점과 단점
·
리눅스/리눅스의 이해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분들은 전부 다 일기보다는 색칠된 포인트들 위주로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문제를 풀어보면서 자주나오는 부분을 체크해두었습니다. 리눅스의 특징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에 다중 접속(Multi - user), 각 접속자들은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실행 가능(Multitasking) 오픈 소스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이 소스(source)가 공개되어 있다.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 가장 널리 쓰이는 이더넷(Ethernet), SLIP, PPP, ATM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 지원 TCP,IP, IPX, AppleTalk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자기 고유의 파일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DOS-FAT, Window..
[OSI 7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과 패킷의 차이?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이전시간에 프레임에 알아보았다. 다시 한번 복습한다 생각하고 의미를 공부해보자. 프레임? 데이터를 담는 컨테이너로, 페이로드가 있다. 페이 로드 : 동일 네트워크 상의 두 지점 간에 정보를 전달할 소스와 목적지 주소를 갖고 있는 것. TCP/IP 스택의 2계층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페이로드의 크기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프레임의 소스와 목적지 주소는 컴퓨터,태블릿 등의 MAC(디바이스 고유 번호)주소이다. 패킷의 정의를 먼저 확인하고 차이점을 알아보자. 패킷?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이며, 네트워크상의 두 장치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단독 단위이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블록이다. 라우터는 IP패킷 헤더를 사용하여 원본에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