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스위치?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프레임? 데이터를 담는 컨테이너로, 페이로드가 있다. 페이 로드 : 동일 네트워크 상의 두 지점 간에 정보를 전달할 소스와 목적지 주소를 갖고 있는 것. TCP/IP 스택의 2계층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페이로드의 크기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프레임의 소스와 목적지 주소는 컴퓨터,태블릿 등의 MAC(디바이스 고유 번호)주소이다. 스위치 프레임은 네트워크 상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이더넷 스위치가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메모리의 MAC참조 테이블과 맞춰 본다. 참조 테이블은 스위치에게 디바이스의 물리포트가 해당 MAC주소와 일치하는 프레임 목적지의 주소라는 것을 확인해준다. 프레임을 참조 테이블에 의해 확인된 물리 포트로 전달한다. 만약 케이블이 목적지 디바이스에 직..
[OSI 7layers -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CRC란?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CRC? CRC(Cyclic Redundancy Checkig)은 순환 중복검사라는 뜻이다. 순환 중복검사란 잘 정의된 수학적 구조를 가지며 부호화에 용이하고 매우 효율적인 복호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에러 검출 능력이 우수하다. 대부분 네트워크 등을 통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전달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한 값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주어진 데이터의 값에 따라 CRC값을 계산하여 마지막 부분에 붙여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해당 데이터의 길이만큼 값을 통해 CRC를 계산한다. 이진법 기반의 하드웨어에서 구현하기 좋고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하는데 훌륭한 신뢰성을 가진다. [요약] : 데이터링크계층에서 CRC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가 필요하다.
[OSI 7계층] 물리(Physical Layer)계층의 장비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OSI 7Layers를 공부하면서 궁금했던 리피터, 허브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리피터(Repeater)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증폭하는 장비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연결하는데 사용 전자기장 확산이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감쇠를 보상해주어 여러 대의 리피터를 사용하면 장거리까지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요즘은 허브등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허브 LAN을 구성할 때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 리피터와 멀티포트의 역할을 제공한다. 리피터와 동일한 기능 지원(신호 정형 및 증폭) 중심축에 놓여 여러개의 포트를 이용하여 컴퓨터 여러대와..
리눅스 well-known port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well - known port(0번 ~ 1023번) 필수적인 내용만 담았습니다. port number - TCP/UDP - 종류 (일부 중요한 포트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20 - TCP : FTP(파일 전송) 21 - TCP : FTP(제어 및 인증) 22 - TCP - SSH(암호화된 쉘) 23 - TCP - Telnet(암호화 x, 텍스트 통신) 25 - TCP - SMTP(이메일 전송) 53 - TCP/UDP - DNS(도메인 > IP주소로 전환) 67 - UDP - DHCP Server 68 - UDP - DHCP Client 80 - TCP/UDP - HTTP(웹 페이지 전송, 웹 서비스) 110 - TCP - POP3(받는 메일 서버, 읽으면 클라이언트 쪽으로 다운로드) 139 - TC..
[리눅스 마스터 2급] 네트워크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네트워크?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여 정보 교환 및 처리, 자료 및 하드웨어 공유 등을 위해 구성한 통신망을 말한다. 네트워크 범위 LAN(Local Area Network) 빌딩, 연구소, 학교와 같은 규모(반경 수 km)내의 근접한 컴퓨팅 장비들을 연결한다. 신뢰성 있는 고속 통신채널 제공 근거리 망 낮은 오류율에 의한 신뢰성있는 고속데이터 전송 가능 속도 : 10Mbps~155Mbps 지역적으로 제한된 영역에 한정 종류 : Ethernet, Token-Ring, FDDI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학교와 같은 규모(반경 수 십km)내의 컴퓨팅 장비들을 연결한 망 LAN과 같은 데이터 속도 WAN(Wide Area Network) 도시와 도시, 국가와 국가간 연결하는 ..
[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X-window)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 네트워크 프로토콜(x-프로토콜)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리눅스 환경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리눅스 = CUI(command User Interface)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이다. 특징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을 제공한다. 이기종 시스템 사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smaba) 스크롤바, 아이콘, 색상 등 그래픽 환경 자원들이 특정 형태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 종류 X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i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세지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