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2급 파일 시스템 생성
·
리눅스/리눅스 운영 및 관리
명령어 mkfs mkfs[옵션] [장치이름]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생성 fdisk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나눈 후 해당 파티션에 맞는 파일 시스템 생성 옵션 설명 -V 자세한 정보 보기 -v - 직업 상태와 결과를 자세히 보기 -t 생성할 파일 시스템 타입(ext2,exgt3,ext4 등) 지정 -c -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전에 배드블록을 검사 -l - 지정된 파일명으로부터 배드블록 목록 읽기 명령어 mke2fs mke2fs[옵션] [장치명] ext2,ext3,ext4 타입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 fdisk 명령어로 파티션 작업을 한 후에 mke2fs 혹은 mkfs명령어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한다 옵션 설명 -t 파일 시스템 타입 지정(ext2,ext3,ext4) -b - 블록 크기..
리눅스 마스터 2급 - mount/umount/fdisk
·
리눅스/리눅스 운영 및 관리
mount와 umount 마운트는 특정 디바이스를 특정 디렉터리처럼 사용하기 위해 장치와 디렉터리를 연결한다. 리눅스는 PnP(Plug and Play)를 지원하지만 지원하는 하드웨어가 많지 않으므로 시스템 부팅 후 수동으로 마운트해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언마운트 시킨다. 마운트 설정/해제 명령어 mount mount [옵션] [디바이스명] [디렉터리명] 옵션 설명 -a /etc/fstab 파일에 정의된 모든 시스템 마운트 -n /etc/fstab 파일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마운트 -f 마운트가 가능한지를 테스트 -t vfat : 마이크로소프트 파일 시스템 FAT-32를 마운트 ext 2~4 : 리눅스 파일 시스템 마운트 iso9660 : CD_ROM/DVD마운트 smbfs : 삼바 파일 시스템 마..
리눅스 마스터 2급 - 저널링(ext3~), 파일 시스템(JFS,xfs,ReiserFS)
·
리눅스/리눅스 운영 및 관리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파일의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하는 방식이다.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및 조직하는 체제 하드 디스크나 CD-ROM과 같은 물리적 저장소 관리 파일 서버상의 자료로 접근을 제공하는 방식 가상의 형태로 접근 수단만 존재하는 방식도 파일 시스템의 범위에 포함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구조 1. Super Block 해당 파일 시스템 관련 정보 저장 - 블록 크기 (1,2,4KB) -총 블록의 개수와 블록 그룹의 개수 -Inode의 개수 2. Group Descriptor Table - 각 Block Group을 관리하는 정보 저장 - Block Bitmap과 inode Bitmap의 블록 번호 - 첫 번째 inode Table Block의 블록 번..
JSP - 리다이렉트
·
JSP/JSP 기본 개념
리다이렉트(Redirect) 말 그대로 방향을 다시 설정하는 것이다. 웹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request)를 보낸다.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JSP에서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request라는 내장 객체를 사용하며, 응답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response라는 내장객체를 사용한다. 요청은 주로 사용자가 필요하는 페이지 정보나, 입력 정보등을 가지고 있다. 응답은 페이지 응답 방향 지정 및 쿠키, 에러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 로그인 요청을 했으나 아이디/비밀번호를 틀리게 입력한경우 리다이렉션 설정을 통해 다시 로그인창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래 예시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로그인을 누르게 만들어보았다. 로그..
JSP 문자열, 정수 파라미터 받기(GET, POST방식)
·
JSP/JSP 기본 개념
먼저 내용을 정리하고 예시를 살펴보자! HTTP요청 메서드 1. GET - 대부분의 요청은 GET으로 이루어진다. - 요청응답 속도가 가장 빠르다. - 단, 파라미터 전송을 URL에 담아서 보내기 때문에 노출된다. - 파라미터 전송 길이에 제한이 있다. - 내용이 간단한 경우 사용 2. POST - 파라미터를 HTTP Header라는 부분에 담아서 보낸다. (HTTP Header에서 보내는 과정에서encoding을통해 기계어로 바뀐다, 꺼낼때에는 decoding) - encoding/decoding 방식은 같아야한다. - 따라서, 주소창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 단, GET보다 속도는 느리다. - 파라미터 전송 길이에 딱히 제한이 없다. - 정보가 중요하고 긴것들은 POST를 사용한다.(블로그, 파일 업..
JSP 지시자,선언부,실행부,표현식
·
JSP/JSP 기본 개념
JSP 기초(지시자,선언부,실행부,표현식) 지시자 (directive) : , 페이지 전반에 걸친 설정이나 외부 파일을 불러오는 용도로 사용 선언부(declaration) : , 필드나 메서드를 선언하는 부분. Java로 치면 클래스의 바로 안쪽 선언부 : 서버 실행 후 최초 요청시 생성되고, 서버 종료시 제거 실행부(scriptlet) : , 실행할 Java코드를 작성. 지역변수 선언 및 제어문 사용.Java로치면 main함수 비슷 실행부 : 페이지를 요청시 생성되고, 페이지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이 되면 제거 표현식(expression) : , Java의 데이터를 HTML 영역에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