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개념 정리 - DB] RDBMS 기본 개념
·
면접 준비/DB
테이블 구성RDBMS 내의 레코드들은 테이블의 형태를 이룬다.각 필드로 사용가능한 데이터 유형들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필드타입 이라고 한다.테이블 내의 특정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필드의 집합은 키라고 한다.키는 레코드의 식별뿐만 아니라 테이블 간 참조할때에도 사용된다.키테이블에서 특정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필드를 키라고 한다.키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모두 암기하지 않아도 되지만 후보 키, 기본 키, 외래 키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후보키후보키는 테이블의 한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의 최소한의 집합이다.특정 레코드를 유일하기 식별한다는 점으로 유일성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하나 이상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보 키에 포함된 필드 중 하나라도 생략하면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
[CS 면접 질문] OS - 운영체제 관련 질문 리스트
·
면접 준비/OS
아래 질문들에 개념들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2024.12.12 - [면접 준비/OS] - [CS 면접 질문 / OS]프로세스와 스레드2024.12.12 - [면접 준비/OS] - [CS 면접 질문/ OS]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IPC, Pipe, Siganl 개념2024.12.12 - [면접 준비/OS] - [CS 면접 질문/ OS] 동기화와 교착 상태2024.12.19 - [면접 준비/OS] - [CS 면접 질문 / OS] 가상 메모리, 페이징, 내부 단편화, 외부 단편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해당 내용들은 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하였습니다.면접 질문1. 공유 메모리 기반 IPC가 소켓 통신보다 빠른이뉴는?공유 메모리는 동일한 메모리 공간에서 직접 접근하여..
[CS 면접 지식 -Java] 동일성과 동등성, equals()와 ==의 차이
·
면접 준비/Java
동일성과 동등성은 객체를 비교할 때 중요한 방식이다.자바에서는 두 개의 객체 또는 값을 비교할때 equals()또는==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1. equals와 ==의 차이equals()는 객체의 내용을 비교하는 반면, ==는 객체의 참조주소를 비교한다. 따라서 두 객체의 내용이 같더라도 서로 다른 객체라면 equals()는 true를 반환할 수 있지만 ==는 false를 반환한다. 2. 동등성(Equality) 동등성은 논리적으로 객체의 내용이 같은지 비교한다. 이때 사용하는 equals()메서드는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드하여 어떤 값을 비교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이때 중요한건 객체의 equals뿐만 아니라 hashCode도 오버라이드를 해줘야 한다는 점이다.그 이유는 해시값을 사용하는 자료 구조는..
[CS 면접 질문 / OS] 가상 메모리, 페이징, 내부 단편화, 외부 단편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면접 준비/OS
가상 메모리실제 CPU 내부의 저장공간이 메모리만큼 커야 들어갈 수 있으나, 실제로는 더 작은 용량을 갖고 있다.새로운 프로세스는 새롭게 메모리에 적재되고,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는 메모리에서 삭제된다.CPU가 실시간으로 바뀌는 정보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논리 주소, 가상 메모리, 페이징에 대해 알아보겠다.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CPU와 프로세스는 메모리의 하드웨어의 실제 주소인 물리 주소(physical address)가 아닌 논리 주소(logicla address)를 사용한다.논리 주소는 프로세스마다 부여되는 0번의 주소부터 시작하는 주소 시스템을 말한다.CPU와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주소 체계는 물리 주소가 아니라 논리 주소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물리 주소의 번지수는 존재하지 않지만, 중복되는 논리 주소의..
[CS 면접 질문/ OS] 동기화와 교착 상태
·
면접 준비/OS
공유 자원메모리나 파일 등의 자원 또는 전역 변수, 입출력장치를 두고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여러 개의 스레드가 실행된다면 일관성의 문제, 레이스 컨디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공유자원에 접근하는 코드 중 동시에 실행됐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이라고 한다. 레이스 컨디션위처럼 동시 다발적으로 실행되는 동안에는 언제나 임계 구역을 동시에 실행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의 일관성이 손상이 되며 이를 레이스 컨디션상황 이라고 한다.이러한 레이스 컨디션을 제어하기 위해서 동기화의 개념이 필요하다.동기화(synchronized)실행 순서의 제어를 통해 프로세스 및 스레드를 올바른 순서로 실행해야 하며,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
[CS 면접 질문/ OS]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IPC, Pipe, Siganl 개념
·
면접 준비/OS
웹 브라우저웹 브라우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탭마다 하나의 프로세스로 동작한다.유저들이 자주 쓰는 크롬 부라우저에서 열고 있는 하나의 탭들이 하나하나의 프로세스이며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있다면 멀티 프로세스라고 부른다.멀티 프로세서기본적으로 자원을 공유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PID값이 다르고, 프로세스 별로 파일과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이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멀티 스레드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동시에 같은 코드를 여러 번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하나의 스레드는 스레드를 식별할 수 있는 ID값,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 값, 스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스레드마다 각각의 프로그램 카운터 값과 스택을 갖고 있기 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