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문제 풀이[10869] JavaScript - 사칙 연산
·
문제 풀이/백준 문제풀이
예시) 1994라는 숫자가 있다.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 값을 출력해보아라. 문제를 풀다 보면 자주나오는 기본적인 문제이다. 활용 >> 1994%10 = 1994를 10으로 나눈 나머지 ==> 4(결과값에 더하기) 1994/10 = 199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구문을 만들면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가능하다. 이해가 안가는 분을 위해 추가로 과정을 한 번 더 적어보겠다. 1994/10 = 199 199/10의 나머지 > 9 (결과값에 더하기) 199/10 > 19
백준 문제 번호[1000] JavaScript- A+B
·
문제 풀이/백준 문제풀이
이후의 문제 A-B, A*B 등은 System.out.println(a + b);에서 색칠된 내용을 변경하면 원하는 내용이 연산되어 산출된다. 만약 System.out.println("답은 : " + a+b);와 같은 문자열과 함께 비원시자료(정수,실수 등)을 나타내고 싶다면! System.out.println("답은: " + (a+b));
문제 번호[2557] Java Script - Hello World!
·
문제 풀이/백준 문제풀이
public class Main{ 내용 입력
[OSI 7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과 패킷의 차이?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이전시간에 프레임에 알아보았다. 다시 한번 복습한다 생각하고 의미를 공부해보자. 프레임? 데이터를 담는 컨테이너로, 페이로드가 있다. 페이 로드 : 동일 네트워크 상의 두 지점 간에 정보를 전달할 소스와 목적지 주소를 갖고 있는 것. TCP/IP 스택의 2계층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페이로드의 크기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프레임의 소스와 목적지 주소는 컴퓨터,태블릿 등의 MAC(디바이스 고유 번호)주소이다. 패킷의 정의를 먼저 확인하고 차이점을 알아보자. 패킷?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이며, 네트워크상의 두 장치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단독 단위이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블록이다. 라우터는 IP패킷 헤더를 사용하여 원본에서 대..
[OSI 7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스위치?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프레임? 데이터를 담는 컨테이너로, 페이로드가 있다. 페이 로드 : 동일 네트워크 상의 두 지점 간에 정보를 전달할 소스와 목적지 주소를 갖고 있는 것. TCP/IP 스택의 2계층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페이로드의 크기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프레임의 소스와 목적지 주소는 컴퓨터,태블릿 등의 MAC(디바이스 고유 번호)주소이다. 스위치 프레임은 네트워크 상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이더넷 스위치가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메모리의 MAC참조 테이블과 맞춰 본다. 참조 테이블은 스위치에게 디바이스의 물리포트가 해당 MAC주소와 일치하는 프레임 목적지의 주소라는 것을 확인해준다. 프레임을 참조 테이블에 의해 확인된 물리 포트로 전달한다. 만약 케이블이 목적지 디바이스에 직..
[OSI 7layers -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CRC란?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CRC? CRC(Cyclic Redundancy Checkig)은 순환 중복검사라는 뜻이다. 순환 중복검사란 잘 정의된 수학적 구조를 가지며 부호화에 용이하고 매우 효율적인 복호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에러 검출 능력이 우수하다. 대부분 네트워크 등을 통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전달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한 값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주어진 데이터의 값에 따라 CRC값을 계산하여 마지막 부분에 붙여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해당 데이터의 길이만큼 값을 통해 CRC를 계산한다. 이진법 기반의 하드웨어에서 구현하기 좋고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하는데 훌륭한 신뢰성을 가진다. [요약] : 데이터링크계층에서 CRC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