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 Servlet 각 내장객체별 범위(Scope)
·
JSP
해당 게시물을 사용한 2차 창작시 댓글 부탁드립니다.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 웹에서 request(요청)이 들어오면 java파일이 생성되고 그 안에서 Servlet이 호출된다는 사실은 다들 알고 계시죠? 혹시나 모르신다면 아래 페이지를 먼저 읽고 와 주시기 바랍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정리해놨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각 내장객체가 생성되는 시점 ☀️Service가 생성되는 시점에 각 내장객체들이 생성됩니다. ☀️하지만 request는 HttpServletRequest에서 가져오게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request는 jsp페이지가 호출됨과 동시에 페이지의 값들을 가져오기 때문에 먼저 생성되어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통해 알아보는 객체별 범위 📌pa..
JSP 내장 객체 유효 범위 (pageContext,Request,Session,Application), Attribute
·
JSP
🟰내장 객체 별 유효 볌위 ☀️pageContext 현재 JSP 페이지 내부에서 유효하다. ☀️Request 현재 요청 내에서 유효하다. forward를 하면 다음 페이지에서도 유효하다. ☀️Session 현재 사용자의 접속이 유지되는 동안 유효하다. ☀️Application 현재 서버가 종료되기 전까지 유효하다. 🟰객체의 함수 ☀️ 내장객체.setAttribute(String name, Obejct o ) 지정한 내장객체에 name과 o를 연결하여 저장한다. ☀️내장객체.getAttribute(String name) 지정한 name으로 객체 o를 반환받는다. ☀️내장객체.removeAttribute(String name) 지정한 name으로 저장된 객체를 제거한다. 예시 코드 ​ 위와 같은 내용이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