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2급/네트워크, CS면접 ] OSI 7계층
·
리눅스/네트워크(기초)
IOS 7 Slayer( 7계층)?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계층, 상하구조가 존재한다 >> 물리적인 연결이 있어야 데이터를 보낼 수 있고 소프트웨어가 작동한다. 각 계층은 독립적이다 >> 유지관리하기 용이하다 순서(A>P>S>T>N>D>P) 암기 TIP ! APart 1ST NeeD Partition 계층별 설명 물리(Physical Layer) - 하드웨어의 특성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데이터 전송)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장비 : 리피터, 통신 케이블, 허브, 모뎀 데이터 단위 : 데이터는 0 과 1(비트열) == on/off의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기만 할 뿐, 상태에 대해서는 전혀 확인하지 않는다. 신호를 주고 받기위한 전기적, ..
[리눅스 마스터 2급] 프로세스(Process)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프로세스?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메모리에 적재되어, PCB(Process Control Block)이라는 형태로 OS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은 절대 다르다. 시험에 안나오지만 아래 사진은 참고만 해두자. 프로세스(process)의 생성 fork -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 형태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형태 기존의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하고 원래의 프로세스와 똑같은 코드를 기반으로 실행한다. 보통 명령어를 내리면 fork형태로 수행된다. exec - 원래의 프로세스를 새로운 프로세스로 대체하는 형태 호출한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새로운 프로세스의 코드로 덮어 씌움 명령어 앞에 exec를 붙이면 기본 프로세스가 교체되며 새로운 프로세스가 할당된다. 프로..
[리눅스 마스터 2급] 쿼터(Quota)
·
리눅스/리눅스 마스터 2급
쿼터(Quota)? 쿼터란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는 것. 리눅스는 여러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user1이 시스템을 사용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에 용량이 큰 파일을 계속 생성하여 하드 용량을 모두 사용한다면 시스템 운영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상황에 대비하고자 각 사용자마다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해둘 수 있는 쿼터가 필요하다. -각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 -생성할 파일개수(i-node 수) 제한 edquota - 쿼터 할당량을 설정하는 명령, 명령 실행시 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실행된다. 옵션 edquota [option] [사용자명] -u [사용자] : 사용자의 할당량을 수정 -g [그룹] : 그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