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한 일
- 팀원 간 코드 리뷰
- 튜터님과 상담
- 이전에 진행중이던 프로젝트 리팩토링
- 블로그 스터디
## 진행 내용
### 팀원 간 코드 리뷰
팀장으로써 무게는 아주 무거웠다... 테이블 명세와 API명세를 수시로 업데이트해야하고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하기에 엔티티의 연관관계를 팀원들이 확실히 인지하고 있을 수 있도록 도식화해서 이해하셨을진 모르겠지만? 열심히 업데이트를 해주었다.
코드에서 문제점을 찾고 전체적으로 회의할 부분은 별도의 회의시간을 통해 수정할 내용을 공유했으며, 문법이나 예외가 발생할만한 상황들을 서로 코멘트를 남기고 수정할 수 있도록 request했다. 오늘안에 팀원들이 모두 pr을 해줘야 전체적인 체크 후 엔티티 결합 및 서비스 로직을 시작할텐데 매우 걱정된다... 하하
### 튜터님과의 상담
오후 3시쯤 튜터님과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간단한 이야기들이 오갔다. 결론적으로는 내가 하는만큼 결과를 보이고 취업에 성공하는 것이기에 열심히 하는게 항상 정답이였다. 아니 열심히 할뿐만아니라 잘!해야 한다!!!
튜터님께서 질문중에 개념에 대한 질문도 하셨는데 그중 인덱스의 개념과 인덱스가 많아지면 발생하는 문제점, DispatcherServlet의 개념, JPA에서 flush란? 그리고 언제 flush가 수행되는지 말씀해주셨다.
이 개념들에 대해 대략적으로는 답변했지만 깊이 학습하지는 않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는 못해서 따로 포스팅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 이전 프로젝트 리팩토링
국비심화교육에 들어오기 이전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이번에 튜터님과 이야기하며 수정해야할 부분들을 날잡아서 한번에 리팩토링을 진행하였다. 그 부분에서 내가 어떤 비즈니스 로직을 짜왔는지 다시 한 번 리뷰하면서 성찰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는 기능 개발에 급급하기보다는 조금 더 깊고 넓은 시야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블로그 스터디
두 분과 아침 9시 30분부터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나는 서브모듈로 yml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토큰을 어떻게하면 잘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공유하였고 다른 두 분은 ExceptionHanlder와 ExceptionResponse를 어떻게 커스텀해서 개발해야 할지 그 방법론에 대해 설명을 해주셨다. 다양한 전략을 들을 수 있어 좋았고 다음에도 더 알찬 내용으로 블로그를 작성해서 공유해보려고 한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Stream 활용하기, CI/CD 파이프라인 개발, 엔티티 개발 협업 (0) | 2025.02.20 |
---|---|
[TIL] Filter예외 처리, 서버 배포 (0) | 2025.02.19 |
[TIL] SoftDelete 개발 방식, 서브 모듈 설정, PR 및 Postman으로 API문서 공유하기 (0) | 2025.02.17 |
[TIL] Spring Security 예외 설정 , S3 설정, JWT 구현, JPA Auditawre (0) | 2025.02.15 |
[TIL] 패키지 전략 및 토큰과 세션 개념 정리, 서비스와서비스끼리 의존관계를 갖게 하지 않는 이유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