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오늘 한 일 (회의 및 튜터님 조언 중심)
- 패키지 구성 방식: 도메인 중심
- MSA에서는 계층형을 더 자주 사용 (관련 공부 필요)
- 참고 자료: https://zkdlu.tistory.com/2
다국어 설정 논의
- 예외 메시지를 한국어로 제한할지 여부
- 결론: 영어로 설정
- 이후 다국어 지원 추가 예정
예외 커스텀 방식
- 모든 예외 메시지 커스텀 → ✅
- 도메인별 예외 메시지 분리 → ✅
보안 및 인증
- Spring Security + JWT 적용 필요
- JWT는 회원 및 API에서 인증된 유저인지 확인하는 어노테이션에서 사용
- 즉시 작업 필요 →
회원 및 보안 담당 팀원
진행
Jira 도입
- 도입 여부: ✅
- 이유: 티켓별로 개발 진행 상황 및 이슈 공유 가능
🚀 프로젝트 진행 플로우 (튜터님 조언)
1️⃣ 전역 설정 (팀장 진행)
- GlobalExceptionHandler
- Security 설정 (완료 후 피드백)
- 인증 필터
- 예외 처리 방식
- Util
passwordUtil
→Bcrypt
암호화imageFileUtil
→S3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
- Config
S3Config
- 상수 정의 (
constant
)- 상수 컨벤션 정리 (ENUM 타입)
- 네이밍 규칙:
도메인_행위_상태
또는도메인_오류유형
📌 오늘 할 일 최종 정리
✅ 컨벤션 정리
- 상수 컨벤션 정의
- [] 컨벤션을
README.md
에 정리
✅ 전역 설정 공유
-
GlobalExceptionHandler
-
S3 설정
-
Security 설정
- 인증/인가
✅ Jira 생성 및 역할 분배 정리
- Jira 생성 및 초대 -> 은수님이 생성
- 일정 정리 및 가독성 개선효과
✅ 튜터님에게 질문한 내용
- DTO의 생성 메서드와 Mapper의 역할 중복 문제 해결 방법
- 튜터님 의견:
- Mapper를 사용하면 DTO가 많아질수록 복잡해짐
- 목적에 맞는 구조가 중요하며, 개발자가 이해하기 쉬운 방식이 최선
- 캐싱을 위해 Helper 클래스를 분리하여 사용 (
static
메서드 활용) - 공통 전용 코드 레이어 추가 고려
- 튜터님 의견:
- JWT 사용 이유
- 세션 저장 방식은 리소스 사용량 증가로 부적합
- JWT는 정보를 클레임에 넣어 데이터 교환 시 검증 가능
- 토큰 관리 방식
- 유저에게
Access Token
+Refresh Token
제공 유저 엔티티
에 발급 시점 기록 → 특정 시점 이전의 토큰은 무효화- Redis에
TTL=30분
저장 - 캐시 미스 → null인 경우 패스
- 캐시 히트 → 발급 시점이 오래된 경우 예외 발생
- 유저에게
- 서비스 간 직접 참조 없이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식
- 중간의 레이어를 통해 서브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하기
- Helper 클래스를 두고 메서드 공통화
- 도커를 전부 사용하면 MSA 의미가 없어질수도 있다 각 서버를 띄우고 서버간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장애를 대처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SMALL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API Document 피드백 수렴 및 기술, 컨벤션 회의 (0) | 2025.02.13 |
---|---|
[16조 문서] API Document, Table Document, ERD (0) | 2025.02.13 |
[TIL] API Document 생성 방식 (0) | 2025.02.12 |
[TIL] MSA 서비스 Resilience4j로 CircuitBreak설정, Fallback 실습 (0) | 2025.02.11 |
[TIL] MSA 각 서비스 모듈 자원 공유하기, Movie Service 개발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