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 또한 왜 보안 그룹을 설정하는지, 인바운드/아웃바운드는 왜 설정하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먼저 알아본 후에 사진을 보고 보안그룹을 설정해보자.
1. 인바운드
인바운드는 자신의 서버에 누가 들어올 수 있는지 규칙을 명시하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인바운드는 모든 포트를 닫는 것을 전제로한다. 인바운드 규칙에서 설정하지 않는 포트들은 사용할 수 없는 포트들이다.
인바운드는 최소한의 포트만을 개방하여 서버에 관여할 수 있는 관리자 및 사용할 프로토콜들만 최소한으로 열어두는것이 원칙이다.
2. 아웃바운드
서버에서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규칙을 의미한다.
모든 포트를 허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대부분의 아웃바운드에 대해 어느정도 트래픽을 무료로 제공하지만 일정 트래픽을 넘어가면 과금을 하는 형태이다.
간단히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럼 설정해보자!
이처럼 보안그룹에 들어가면 이미 설정해놓은 보안그룹 또는 default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보안그룹이 설정되어 있다.
우측 상단에 보안그룹생성을 눌러 내 입맛대로 하나를 만들어 지정해주자.
우선! 보안그룹 이름을 내가 알아먹을 수 있게 하나 만들어주자.
그 후 인바운드에서 규칙추가를 눌러 새로 입장할 수 있는 포트와 아이피를 설정하자.
0.0.0.0/0 은 모든 아이피와 포트를 개방하는 설정이므로 되도록 설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테스트할때야 열어놓고 사용하지만 함께 개발하는 개발자들의 PublicIP를 공유받아 해당 유저들만 서버에 접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나는 프로젝트에서 혼자 백엔드를 담당하고 있어 내 IP로만 설정할것이다. 만약 카페나 다른 장소에서도 작업을 한다면 해당 IP를 추가해줘야 한다. 모두 설정 후 하단 아래에 있는 보안 그룹 생성을 눌러준다.
다시 EC2로 돌아가서 해당 서버에서 우 클릭을 해준다. 보안 -> 보안그룹변경 -> 내가 만든 보안그룹을 선택해서 적용시켜준다.
다음에는 탄력적 IP설정법과 Putty를 통해 윈도우에서 ssh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문제 해결 추가] 매우 간편한 AWS EC2 Linux Docker설치 (0) | 2024.08.12 |
---|---|
[AWS / 접근 오류] Disconnected-No-supported-authentication-methods-available-server-sent-publickeygssapi-keyexgssapi-with-mic (0) | 2024.08.12 |
[AWS / 사진첨부] 탄력적 IP가 무엇이고 어떻게 설정하지? (0) | 2024.08.02 |
[AWS/ 사진첨부] EC2 서버 Free Tier로 개설하기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