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코드를 통해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자료형 const t1 = true; //bolean const t2 = 10; //정수 const t3 = 'hello'; //문자열 const t4 = () => alert('function'); //함수 const t5 = ['짱구','유리','수지','철수','훈이']; //배열 const t6 = { name: '단비', // 객체에는 속성을 저장할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age : 5, show: () => alert('단비꺼야!!') //객체의 속성에 함수를 지정할 수 있다. } //하나의 객체와 객체에 대한 속성을 지정한 값
변수에 담을 수 있는 변수
☀️boolean(참/거짓)
☀️정수
☀️문자열
☀️함수
☀️배열
☀️객체
여기서 말하는 객체에 대해 처음 접하는 분은 이해가 안가실텐데요!
자바를 하셨다면 자바에서 사용하는 객체와 동일합니다.
이런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바의 방식 : 클래스를 생성한다(필드변수 생성) > 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생성한다.
자바스크립트 방식 : 변수에 바로 객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객체에 대한 필드변수도 지정한다.
728x90
반응형
SMALL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06 - switch를 사용한 이동효과 만들기 (0) | 2023.08.01 |
---|---|
JavaScript05 - 조건몬(if) (예시 포함) (0) | 2023.07.31 |
JavaScript04 - 반복문(For) (예시 포함) (0) | 2023.07.30 |
JavaScript03 - 연산자(덧셈,뺄셈,곱셈,나눗셈) (예시 포함) (0) | 2023.07.29 |
JavaScript01 - 변수(let,var,const) (예시 포함) (0) | 2023.07.27 |